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양력의 비대칭(Dissymmetry of Lift) 양력의 비대칭(dissymmetry)은 각각 절반 영역의 서로 다른 바람 유속에 의한 회전날개 디스크의 앞쪽 이동 부위(advancing halves)와 뒤쪽 이동 부위(retreating halves) 사이에 동일하지 않은 양력이 발생하는 것이다. 양력의 대칭을 얻기 위해서는 이렇게 같지 않은 양력을 보정하기(compensating), 교정하기(correcting) 또는 배제하기(eliminating)의 수단이 필요하다. 헬리콥터가 공기를 지나서 이동할 때 주 회전날개 디스크를 통과한 상대적 공기흐름은 후단과 전단이 서로 다르다. 전진날개 블레이드에서의 상대 바람 헬리콥터의 전진 속도에 의해 증가하는 반면 후퇴날개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상대 바람은 헬리콥터의 전진 대기속도에 의해 줄어든다. 따라서 상대 .. 더보기 헬리콥터의 전진 비행(Forward Flight) 대기속도 또는 수직속도에 변화 없이 정속 전진 비행(steady forward flight)에서 양력, 추력, 항력, 중력의 4가지 힘은 균형이 잡혀있어야 한다. 끝단 면(tip-path plane)이 앞쪽으로 기울어졌을 때 전체 양력과 추력 또한 앞쪽으로 기울어진다. 이 합성 양력과 추력은 2가지 성분으로 구성되는데, 수직 위쪽으로 작용하는 양력과 비행의 방향에서 수평으로 작용하는 추력이다. 양력과 추력에 추가하여 아래 작용하는 힘은 중력과 공기를 통과하는 에어포일에 정반대의 힘인 항력이 있다. 일정한 비행 방향과 일정한 고도의 직선 수평(traight-and-level), 비 가속 전진 비행(unaccelerated forward flight)에서, 양력은 중력과 같고 추력은 항력과 같다. 만약 .. 더보기 헬리콥터의 정지 비행(Hovering Flight) 공중 정지비행 시 헬리콥터는 보통 지면 위에 선택된 지점 위에서 정위치를 유지한다. 하늘에 멈춰 떠 있기 위해서는 헬리콥터의 회전 날개 장치에 의해 발생한 양력, 추력은 수직 위쪽으로 작용하고, 수직 아래쪽으로 작용하는 중력, 항력과는 같아야 한다. 공중 정지하는 동안 주 회전날개 추력은 공중 정지 고도를 유지하기 위해 변화될 수 있다. 이것은 콜렉티브 피치(collective pitch)를 움직여서 회전날개 블레이드의 입사각을 변경하는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받음각을 변경하는 것은 회전날개의 항력을 변경하고 엔진에 의한 동력은 일정한 회전날개 속도를 유지하도록 변경해야 한다. 지탱해야 하는 무게는 헬리콥터와 탑승자의 전체 무게이다. 만약 양력이 실제의 중력보다 더 크다면 헬리콥터의 상승력은 고도를.. 더보기 헬리콥터의 하중(Forces Acting on the Helicopter) 헬리콥터와 고정익 항공기의 차이점 중 하나는 양력의 주공급원이다. 고정익 항공기는 고정 날개 표면에서 양력이 발생하는 반면 헬리콥터는 회전 날개의 에어포일에서 양력이 발생한다. 무풍상황(no-wind condition)에서 공중 정지비행(hovering)을 하는 동안 끝단부 통과면(tip-path plane)은 수평 위치, 즉 지지 면에 평행하다. 양력과 추력은 일직선 위로 작용하고, 중력과 항력은 일직선 아래로 작용한다. 양력과 추력의 합은 공중 정지비행하는 헬리콥터에 대한 무게와 항력의 합과 같아야 한다. 무풍상황에서 수직 비행할 때 양력과 추력은 수직으로 그리고 위로 작용한다. 무게와 항력은 수직으로 그리고 아래로 작용한다. 중력과 항력이 동일할 때 헬리콥터는 공중에서 정지비행을 하는데 만약 양.. 더보기 회전익 항공기 1. 회전익 항공기 형상(Configurations of Rotary-wing Aircraft) 1) 오토자이로(Autogyro) 오토자이로(Autogyro)는 회전날개를 통해 위쪽으로 공기를 통과시키며 돌아가는 자유 회전 수평 회전날개(free-spinning horizontal rotor)를 가지고 있는 항공기이다. 공기 이동은 끄는 형이거나 미는 형으로 엔진 및 프로펠러 설계의 결과로써 항공기의 전진 운동에서 발생한다. 2) 단일 회전날개 헬리콥터(Single Rotor Helicopter) 단일 수평의 주 회전날개(single horizontal main rotor)를 가지고 있는 항공기를 단일 회전날개 헬리콥터(single-rotor helicopter)라고 한다. 미익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2차.. 더보기 고속 항공역학(High-Speed Aerodynamics) 압축성 역학 분야인 고속 항공역학(high-speed aerodynamics)은 항공학 연구에 특별한 영역이다. 마하(Mach) 1 이상에 달하는 속도까지 비행하기 위한 항공기를 설계할 때 적용된다. 기체역학(gas dynamics)을 연구했던 19세기 후반 물리학자 에른스트 마흐(Ernst Mach)의 명성에 의해 이름 붙여진 특별한 매개변수인 마하수(mach number)에 의해 설명된다. 마하수는 공간의 음속에 대한 항공기의 속도 비율이고 압축성 효과의 다양한 크기를 결정한다. 항공기가 대기를 통과하여 이동할 때 항공기 근처의 공기 분자는 교란되어 항공기 주위로 이동한다. 공기 분자는 마치 보트가 물을 통과하여 이동할 때 선수파(bow wave)를 일으키는 것과 같이 옆으로 밀려난다. 만약 항공기가.. 더보기 대형 항공기의 제어시스템(Control Systems for Large Aircraft) 1) 기계식 제어(Mechanical Control) 초기 항공기를 조종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장치로 공기력이 과도하지 않은 소형 항공기에 널리 사용되던 장치이다. 조종 장치는 기계식과 수동식이 있다. 항공기를 조종하는 기계식 방식은 케이블(cable), 푸시풀 튜브(push-pull tube), 토크 튜브(torque tube)로 나눌 수 있다. 케이블 장치는 부착된 곳의 구조물 변형이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가장 폭넓게 사용되고, 일부 항공기는 세 가지 모두를 조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들 시스템은 케이블 어셈블리(cable assembly), 케이블 유도장치(cable guide), 연결장치(linkage), 가변 제어장치(adjustable stop), 조종면 완충기 또는 기계식 고정장치.. 더보기 비행 제어(Flight Control)와 보조 양력 장치(Auxiliary Lift Devices) 1. 비행 제어(Flight Control) 1) 기본 비행 제어(Primary Flight Control) 1차 조종장치는 요구된 비행경로로 비행할 수 있도록 항공기의 공기력을 제어하기 위해 에일러론, 엘리베이터, 러더를 사용한다. 비행 조종면은 비행 시 항공기의 표면 위로 흐르는 공기흐름을 바꿔서 항공기의 자세가 변화하도록 설계되었다. 3가지 조종면은 3개의 축에 대하여 항공기를 움직이는 데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에일러론과 엘리베이터는 조종(control stick), 조종 핸들(control wheel), 그리고 조종륜 조립품(yoke assembly)에 의하여 조종실에서 조작된다. 러더는 대부분의 항공기에서 발밑에 있는 페달(foot pedal)에 의해 작동된다. 횡 방향 조종은 에일러론에 의해 ..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