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안정성과 제어(Stability and Control) 항공기는 비행경로를 유지하고 여러 외부 교란으로부터 회복하기 위해 충분한 안정성을 갖추어야 한다. 항공기의 조종성이 좋다는 것은 항공기가 조종 장치의 움직임에 쉽게 그리고 신속히 반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3개의 조종면은 3개의 축 각각에 대해 항공기를 조종하는 데 사용된다. 항공기의 조종면을 움직이는 것은 항공기의 표면 위를 지나는 공기의 흐름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이것은 수평 비행하는 항공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작용하는 힘의 균형에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다. 항공기의 안정성 측면에서 세 가지 용어인 안정성(stability), 기동성(maneuverability), 조종성(controllability)을 검토해 보자. 안정성은 항공기를 직선 수평비행 경로로 비행하게 하는 특성이.. 더보기
추력과 항력(Thrust and Drag) 모든 항공기는 비행 시 중력, 양력, 항력, 추력이라는 4가지 힘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움직인다. 1) 중력 지구 내측으로 항공기를 끌어당기는 힘인 중력은 항공기 자체, 승무원, 연료, 화물과 같이 항공기에 적용되는 모든 중량에 대해 아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2) 양력 양력은 항공기에 수직으로 작용하고 항공기를 위로 밀어 올리는 힘이다. 3) 추력 항공기를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힘인 추력은 항력을 이겨내는 동력장치에 의해 발생한다. 4) 항력 항공기를 진행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제동을 가하는 힘인 항력은 뒤로 작용하는 견제력이고 날개, 동체 및 돌출된 구조물에 의해 발생한다. 항공기에 작용하는 이 4가지 힘은 오직 항공기가 직선의 수평 정속 비행을 수행할 때 균형을 이룬다. 양력과 항력은 상.. 더보기
에어포일(Airfoil) 에어포일이란 ? 에어포일이란 공기가 이동하는 곳을 통하여 공기로부터 양력을 얻도록 설계된 표면이다. 그래서 에어포일은 양력으로 공기저항을 전환하는 항공기의 모든 부위를 에어포일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날개의 단면이 에어포일의 전형적인 예로 에어포일의 상단과 하단을 흐르는 공기의 속력 차가 발생하고 베르누이의 원리에 따라 압력 차가 생긴다. (상단의 속력이 하단보다 빠르므로 하단의 압력이 더 커지게 된다) 그래서 더 저압의 방향인 위쪽으로 날개를 밀고 나가는 압력 차이가 날개의 윗면과 아랫면 사이에서 발생한다. 양력은 받음각(AOA, angle-of-attack), 날개면적, 공기의 밀도 또는 에어포일의 형태를 변형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항공기의 날개에 양력이 중력과 같을 때, 항공기.. 더보기